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알바 월급 받는 법 (시급계산,주휴수당,월급,야간수당계산)

by dain32 2025. 7. 1.
반응형

 

 

 

알바 시급 계산과 월급 받는 법 정리

시급 계산, 단순히 ‘시급 × 시간’이 아니다

많은 분들이 시급 계산을 단순히 “시급 × 일한 시간”으로만 알고 계세요. 하지만 실제로는 주휴수당, 야간·연장수당, 공제 항목 등을 함께 고려해야 정확합니다.

1. 기본 시급 계산 방법 (2025년 기준)

2025년 최저시급은 10,030원입니다. 예를 들어, 하루 4시간씩 주 5일 근무했다면:

일주일 시급: 10,030원 × 4시간 × 5일 = 200,600원

이것만큼은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지만,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.

2. 주휴수당 계산하기

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, 한 주 동안 개근한 경우 →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.

💡 위 예시처럼 하루 4시간씩 5일 근무했다면 주휴수당은?

주휴수당 = 시급 10,030원 × 4시간 = 40,120원

실질적인 주급은:

200,600원(기본 시급) + 40,120원(주휴수당) = 240,720원

3. 월급은 이렇게 계산하면 된다

알바는 일반적으로 시급제이기 때문에 매월 근무일수에 따라 달라집니다. 다만 평균적으로 계산해 볼 수 있어요.

📌 주 20시간 근무 기준 월급 예시:

(주급 240,720원) × 4주 = 약 962,880원

📌 하루 8시간, 주 5일(40시간) 근무 시:

10,030원 × 8시간 × 5일 × 4.345주 = 약 1,741,707원  
+ 주휴수당 포함 시 약 2,089,342원

※ 1개월 = 평균 4.345주로 계산
※ 공휴일·야간수당은 별도 적용

4. 야간·연장수당 계산

야간 근무(22:00~06:00) 또는 연장 근무(8시간 초과)는 기본 시급의 1.5배로 계산됩니다.

📌 야간 예시:
밤 10시~12시까지 근무 (2시간)

10,030원 × 1.5배 × 2시간 = 30,090원

※ 이 가산 수당도 반드시 별도로 지급돼야 합니다.

5. 월급 받을 때 확인해야 할 것들

💳 보통 알바 급여는 다음과 같이 지급됩니다:

  • 매월 10일 지급
  • 주 단위 (주급)
  • 당일 지급 (단기 알바)

계약서에 지급 방식이 명시돼 있어야 하며, 다음 사항을 꼭 확인하세요:

  • 통장 이체일은 정확한가?
  • 시급과 실제 받은 금액이 일치하는가?
  • 주휴수당은 포함됐는가?
  • 근로계약서에 적힌 항목과 다르진 않은가?

6. 급여 명세서 요청은 권리다

2021년부터 근로기준법에 따라 알바생도 ‘급여명세서’를 요청할 수 있는 권리가 생겼어요.

급여명세서에는 다음이 포함돼야 합니다:

  • 총 근무 시간
  • 기본급
  • 주휴수당
  • 연장·야간수당
  • 공제 금액
  • 실수령액

💬 사장님이 “알바는 그런 거 안 줘”라고 해도,
법적으로는 의무 제공 사항입니다.

마무리 정리

아르바이트도 ‘노동’입니다. 받아야 할 시급은 정확히 받고, 일한 만큼 정당한 월급을 받기 위해선 내가 스스로 계산할 수 있어야 해요.

가끔은 사장님도 잘 모르고 실수하는 경우도 있으니 서로를 위해서라도 정확한 시급 계산법은 꼭 알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.

 

반응형